728x90

데이터베이스 분할에 대한 고민

전체 데이터베이스에 모든 데이터를 한 테이블 혹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기가 어려워진다. 데이터베이스 볼륨이 커지면 커질수록 데이터베이스 읽기/쓰기 성능은 감소할 것이고, 데이터베이스가 병목 지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분할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분할하는 방법은 크게 샤딩(sharding) 파티셔닝(partitioning)이 있다. 이 두 가지 기술은 모두 거대한 데이터셋을 서브셋으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둘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파티셔닝이란?

MySQL 기준으로 기술되었다.

파티셔닝은 매우 큰 테이블을 여러개의 테이블로 분할하는 작업이다. 큰 데이터를 여러 테이블로 나눠 저장하기 때문에 쿼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여러 테이블로 분산하여 저장되지만,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테이블에 접근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파티셔닝은 MySQL 단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이다.

MySQL 에서 파티셔닝을 지원하는 스토리지 엔진은 InnoDB와 NDB이며, MyISAM은 파티셔닝을 지원하지 않는다.

MySQL 파티셔닝 종류

출처: https://docs.oracle.com/cd/B12037_01/server.101/b10743/partconc.htm

파티셔닝 종류는 Oracle과 MySQL 공식문서에서 소개한 4가지 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List Partitioning

데이터 값이 특정 목록에 포함된 경우 데이터를 분리한다. 위 그림 처럼 특정 지역별로 데이터를 분할할 때 사용할 수 있겠다.

Range Partitioning

데이터를 특정 범위 기준으로 분할할 때 사용한다. 위 처럼 1~2월, 3~4월, 5~6월 … 으로 데이터를 분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Hash Partitioning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할 때 사용한다. 특정 컬럼의 값을 해싱하여 저장할 파티션을 선택한다. MySQL 공식 문서에 따르면, 여러 컬럼으로 해싱하는 것은 크게 권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참고).

Composite Partitioning

위 파티셔닝 종류 중 두개 이상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샤딩이란?

샤딩은 동일한 스키마를 가지고 있는 여러대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들에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분산 저장하는 기법이다. 이때, 작은 단위를 샤드(shard)라고 부른다.

어떻게 보면 샤딩은 수평 파티셔닝의 일종이다. 차이점은 파티셔닝은 모든 데이터를 동일한 컴퓨터에 저장하지만, 샤딩은 데이터를 서로 다른 컴퓨터에 분산한다는 점이다.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쿼리 성능 향상과 더불어 부하가 분산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즉, 샤딩은 데이터베이스 차원의 수평 확장(scale-out)인 셈이다.

샤딩은 위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산된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데이터베이스 차원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샤딩을 플랫폼 차원에서 제공하는 시도가 많다고 한다. Naver d2 포스팅에 따르면, Hibernate Shards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하는 형태, CUBRID SHARD, Spock Proxy, Gizzard 와 같이 미들 티어(middle tier)에서 동작하는 형태, nStore나 MongoDB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자체에서 샤딩을 제공하는 형태로 나뉜다고 한다.

(고등학교 때 MERN stack 공부하면서, mongodb 샤딩이 대체 뭐지?… 하고 그냥 넘어갔는데 드디어 공부했다!)

주의점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독립된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분할하여 저장하므로, 여러 샤드에 걸친 데이터를 조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한 데이터베이스에 집중적으로 데이터가 몰리면 Hotspot이 되어 성능이 느려진다. 따라서 데이터를 여러 샤드로 고르게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Celebrity Problem 등 다양한 문제가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가상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Chap01.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포스팅을 참고하자.

샤딩 종류

샤딩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크게 Hash Sharding, Range Sharding 두 가지를 알아보겠다.

Hash Sharding

출처: https://medium.com/nerd-for-tech/all-about-database-sharding-scaling-up-the-database-3b6172491cd

Hash Sharding 중 나머지 연산을 사용한 Modular Sharding 을 알아본다. Modular Sharding은 PK값의 모듈러 연산 결과를 통해 샤드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총 데이터베이스 수가 정해져있을 때 유용하다. 데이터베이스 개수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면 해시 함수도 변경해야하고, 따라서 데이터의 재 정렬이 필요하다.

Range Sharding

출처: https://medium.com/nerd-for-tech/all-about-database-sharding-scaling-up-the-database-3b6172491cd

PK 값을 범위로 지정하여 샤드를 지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PK가 1~1,000 까지는 1번 샤드에, 1,001~2,000 까지는 2번 샤드에, 2,001~ 부터는 3번 샤드에 저장할 수 있다. Hash Sharding 대비 데이터베이스 증설 작업에 큰 리소스가 소요되지 않는다. 따라서 급격히 증가할 수 있는 성격의 데이터는 Range Sharding 을 사용함이 좋아보인다. 이런 특징으로 Range Sharding은 Dynamic Sharding 으로도 불린다.

다만, 이렇게 기껏 분산을 시켜놨는데 특정한 데이터베이스에만 부하가 몰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게시물을 Range Sharding 했다고 가정해보자. 대부분의 트래픽은 최근에 작성한 게시물에서 발생할 것이다. 위 그림에서는 2, 3번 샤드에만 부하가 몰리는 것이다. 부하 분산을 위해 데이터가 몰리는 DB는 다시 재 샤딩(re-sharding)하고, 트래픽이 저조한 데이터베이스는 다시 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