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 빡세다 빡세...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n to use guard let rather than if let  (0) 2024.03.11
Trusty TEE  (0) 2024.03.11
[Trouble Shooting] AccessToken 의 특이점 발견  (31) 2023.08.08
[Android] Classpath 문제 해결하기  (0) 2023.06.26
[Android Update] access_token  (0) 2023.06.20
728x90

Yagnesh 한테서 도착한 issue 들을 merge 한 이후에 

KakaoAdapterSDK 에서 exception 이 나는 상황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한 3년 정도 처리된 issue 들이 하나하나 제대로 처리됬나 분석하고 

revert 돌리고 나서 다시 한땀한땀 반영해봤는데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고

 

 여기저기 찾아 해매다가 결과적으로 git reset 으로 쇼부를 봣다.

 

 

 

이 화면에서

"Reset Current Branch to Here" 을 잡아서 revision 쪽으로 HEAD를 돌리고 나면 commit 이 눈탱이가 돌아갔다고 

Local의 Repository 상태에 Update 쪽이 뜬다.

 

그렇다고 해서 이 부분을 Update 를 땡겨오라는 것이 아니고

내 경우에는 Remote 에 있는 master 마저 조진 상태였기 때문에 

 

Local 에서 조지고 나서 Android Studio 에서 push 를 해줫는데도 제대로 돌아가지 않았다 ^^

역시 진리의 -f 를 줘서 force 를 갈겨주기로 했다.

 

 

origin 에서 master를 갈기면 당연히 local 의 master 를 갈기는 것이므로

origin/master 를 갈겨줘야 remote 상의 master 가 타겟팅이 된다.

 

그러고 나면 정상적으로 돌아오니까 이제 망할놈의 커밋들을 다시 합쳐보자

728x90

Install and update requirements

  • You must be able to extract or "unzip" the downloaded package. If your operating system doesn't have the built-in unzip command, use an equivalent.
  • The AWS CLI uses glibc, groff, and less. These are included by default in most major distributions of Linux.
  • We support the AWS CLI on 64-bit versions of recent distributions of CentOS, Fedora, Ubuntu, Amazon Linux 1, Amazon Linux 2 and Linux ARM.
  • Because AWS doesn't maintain third-party repositories, we can’t guarantee that they contain the latest version of the AWS CLI.

Install or update the AWS CLI

sudo yum remove awscli

 

To update your current installation of AWS CLI, download a new installer each time you update to overwrite previous versions. Follow these steps from the command line to install the AWS CLI on Linux.

We provide the steps in one easy to copy and paste group based on whether you use 64-bit Linux or Linux ARM. See the descriptions of each line in the steps that follow.

 

$ curl "https://awscli.amazonaws.com/awscli-exe-linux-x86_64.zip" -o "awscliv2.zip"
unzip awscliv2.zip
sudo ./aws/install
728x90

 

MSI Mag B660M 메인보드 상에서 M.2_2 슬롯에 장착해주었다.

 

이게 굉장히 어려운 부분은 처음 삿을 때 이후로 그래픽카드를 장착해제 한 적이 없었기에 빼는 과정에서 굉장히 애먹었는데, 해당 메인보드의 경우는 장착 이후 걸림쇠 같은게 존재한다.

 


걸림쇠를 해제하는게 관건이였다

걸림쇠 부분이 하필이면 CPU 쿨러부분 과 그래픽 카드 사이에 손가락도 들어가기 힘든 애매한 크기를 자랑하다보니,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나무젓가락으로 해결봣다는 분들이 많았다.

 

나도 펜으로 도전하다가 도저히 안되서 나무젓가락으로 밀었더니 수월하게 해제가 가능했다.

 

문제는 꽃고나서 DP 케이블 상에서 정상적으로 인식이 안되어 모니터가 안나오길래 이게 무슨일인가 고민하고 고민하고 고민하다가 M.2_1 슬롯의 SSD만 꽃은 상태에서도 시험할때 정상적으로 모니터 출력이 안되는 부분이 보였다.

 

+

알고보니 DP 케이블을 빡세게 끼우지 않았던 것... PCIE 케이블 2개에 대해서 다시 빡세게 끼워주고 RAM카드도 딸깍 딸깍 해주고 다시 M.2_2 까지 연결하니 잘 인식되었다.

 


GPT 테이블 설정 이후에 파티셔닝을 다시 잡아주었다.

 

 

 

500GB 로 새로 뽑은 부분들은 다른 데이터 백업용도로 쓸거고, 남은 3.5TB에 대해서는 설치해서 운영할 방침이다.

이제 C드라이브를 좀 가볍게 만들어서 날아다니게 만들어줄 생각이다.

+ Recent posts